언론탄압의 시작 - MBC 전용기 탑승 배제

블로그에 제휴 및 홍보 링크가 포함되어 있으며,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일정액의 수수료를 받습니다.

    반응형

    최근 MBC의 전용기 탑승을 제외한 대통령실의 언론 탄압이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대통령실의 언론탄압

    AP는 윤 대통령의 전용기 논란 내용을 서울 특파원발로 자세히 보도했습니다.

     

    AP는 한국 대통령실은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과 주요 20개국(G20) 회의를 위해 캄보디아와 인도네시아를

     

    방문하는 동안 MBC에 보도를 위한 지원을 제공하지 않겠다고 밝혔으며

     

    “외교 문제에 대한 왜곡되고 편향된 보도”를 이류로 들었다고 전했다.

     

    AP는 윤 대통령이 “대통령의 납세자의 돈을 많이 쓰는 것은 국익이 중요하기 때문이며

     

    이는 외교·안보 관련 기자들에게 보도지원을 한 이유이기도 하다”며 “이런 관점에서 결정이 이해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이에 더불어 민주당에서는 보복행위라고 칭하였고,

     

    MBC는 군사독재 시대에도 찾아볼 수 없는 언론탄압이라고 표현하였습니다.

     

    논란이 된 것은 지난 뉴욕 순방때

     

    윤 대통령이 비속어 사용한 것이 MBC 카메라에 잡혀 보도한 것에 대한 보복조치라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당시에 정부에서 날리면(?)이라는 보도를 통해서 30%나 날리면 -_-; 이라고 들었다는 평가가 있는데요.

    <박홍근 /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순방 전용기에 보도 언론사의 탑승을 치졸하게 불허하는 뒤끝 작렬 소인배 같은 보복 행위마저 이어갑니다."

    MBC는 "군사독재 시대 때도 찾아볼 수 없는 전대 미문의 일"이라며 반발했습니다.

    전용기라는 공공재산을 사유재산처럼 인식하는 것 아니냐며, "새로운 형태의 언론탄압"이라고 했습니다.

    MBC는 민항기로 현장에 도착해 순방 취재를 하겠다는 입장입니다.

    한국기자협회 등 5개 언론단체는 언론 자유에 대한 명백한 도전이라며, 취재제한 조치를 철회하라고 촉구했습니다.

     

    MBC 언론탄압 이후

    정말 무슨 군사독재 시절도 아니고, 이렇게 대놓고 하는 언론탄압이 21세기의 대한민구에서 있다는 것은 놀라운 일입니다.

     

    실제로 대통령실의  이야기는 모순 덩어리인데요.

     

    어짜피 단순 편의 제공이 아니라, 취재진 사람당 순방 동행 비용을 내고 있고,

     

    국익을 위한다면 모든 기자를 태우지 않아야 하지만, MBC만 찍어서 탑승거부하는 것은

     

    명백한 언론탄압이라는 것입니다.

    외신들은 이러한 윤석열 정부의 판단에 "북한과 똑같다"며 비판을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나라가 정말 어떻게 되려나요..

     

    MBC는 이건에 대해서 헌법소원을 진행한다고 하는데요.

     

    과연 법원의 판단은 어떻게 될지도 궁금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