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무인기 드론 서울 침범

블로그에 제휴 및 홍보 링크가 포함되어 있으며,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일정액의 수수료를 받습니다.

    반응형

    어제 북한 무인기가 서울을 5시간이나 비행했습니다.

    북한 무인기

    북한 무인기 5대가 26일 서부전선 군사분계선을 넘어 서울, 경기 김포·파주, 인천 강화 지역 상공을 비행했지만

     

    군 당국이 격추하지 못했고 인천·김포공항의 민항기 운항은 차질을 빚었습니다.

     

    무엇보다 북한 무인기가 한국 영공을 침범한 것은 2017년 6월 이후 약 5년6개월 만에 발생한 일입니다.

     

    북한이 취약한 정찰능력을 보완하면서 올해 탄도미사일 발사 등으로 끌어올린 군사적 긴장을 가용한 방법으로

     

    이어가겠다는 의도로 해석되고 있습니다.

    어제 합참은 북한 무인기가 군사분계선을 넘어오기 전에 경고 방송과 경고 사격을 했다고 같이 설명했습니다.

     

    당시 “북한 무인기를 식별했지만 민가 인접 지역, 도심 지역이라 격파 사격을 못 했다”고 밝혔습니다.

     

    공격 헬기가 강화 교동도 서쪽 해상에서 20㎜ 기관총으로 100발의 격파 사격을 시도했지만,

     

    목표를 조준한 사격이 아닌 레이더에 탐지된 항적에 대한 사격이어서 격추하지는 못했다고 합참은 설명했습니다.

     

    드론 등 무인기는 일반 항공기보다 작고 속도가 느리며 비행 고도가 낮아 레이더에 잘 잡히지 않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게다가 공군은 이날 오전 11시39분께 무인기에 대응하기 위해 저속 항공기인 KA-1(전술통제기)을 원주 기지에서

     

    띄웠지만 “이륙 중 추락했고 조종사 2명은 비상탈출했다”고 밝혔습니다.

    항공기가 강원 횡성군 횡성읍의 논으로 추락해 인명피해는 없었지만,

     

    추락 지점은 민가와 300m, 초등학교와 50m 떨어진 곳이었습니다.


    북한 무인기의 영공 침범으로 약 1시간 동안 인천공항 여객기 10여편, 김포공항의 여객기 20여편 운항도 지연됐습니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국방부가 오후 1시께부터 김포공항, 인천공항에서 항공기 이륙 중단을 요청해 민항기에

     

    이륙 중단 조처를 적용했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전투기와 훈련기는 강원지역에서 2010년 이후로 벌써 5대가 추락했는데요.

     

    2010년 F-5E, F-5F 2대

     

    그리고 2012년 T-50B 추락

     

    그리고 2022년 11월 20일 KF-16에 이어서 이번 비행기까지 추락했습니다.

    대통령실은 "국가안보실을 중심으로 현장 대응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했다"고 밝혔는데 

     

    국가안전보장회의 NSC를 소집하진 않았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