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 장판이 노란색이었던 이유 커뮤니티에서 무척 신기한 글을 봤는데요. 바로 옛날 장판이 왜 노랑색이었는지에 대한 답변이었습니다. 젊은층 사이에서는 낡고 구질구질한 느낌이나, 열악한 환경 혹은 가난을 표현할 때 ‘노란 장판 감성’이라는 말을 쓰기도 한다. 그렇다면 노란장판이 대체 언제부터, 어떤 이유 때문에 약속이라도 한 듯 우리나라 주택 바닥을 차지하게 된 걸까. 인테리어 업계에 따르면 노란 장판은 1960년대 도입된 이후 길게는 1990년대까지 일반 주택 바닥을 마감하는 대표적인 자재로 쓰였다. 먼저 장판이란 바닥에 까는 종이나 비닐로 된 시트를 말한다. 집 안에서 신발을 벗고 생활하는 우리나라 생활 문화 특성상, 장판 소재로는 방수 기능과 함께 난방에 의한 뒤틀림이 거의 없는 폴리염화비닐(PVC)이 채택됐다. 이 원인은 예전에 .. 이전 1 다음